[앵커]<br />정부가 올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습니다. 추가경정예산 10조 원을 포함해서 20조 원 이상 재정을 더 투입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해서 기업 구조조정과 브렉시트 여파 등에 대응한다는 건데 과연 기대하는 경기부양 효과가 나타날까요? 경제부 신호 기자와 짚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올해 하반기 예산을 늘리겠다면서 추가경정예산 10조 원을 편성했습니다.<br /><br />추가경정예산이 뭔지부터 알아볼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네, 정부나 가정이나 다 예산이 있지 않습니까? 그 예산 안에서 나라 살림을 운용하는 건데, 이게 특별한 사유가 생겨서 부족하게 생겼을 때 원래 예산에서 추가하거나 항목을 변경하는 예산을 바로 추가경정예산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추가예산과 변경예산이 합쳐진 말입니다. 줄여서 추경이라고 많이 부릅니다. 그런데 이 추경이라는 것이 아무 때나 막 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. <br /><br />합당한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. 이번에는 조선·해운업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업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이유입니다.<br /><br />IMF와 한국은행 등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모두 2%대로 봤는데 정부는 3%대를 고수하다가 이번에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브렉시트 여파 등으로 2% 중반대 성장을 걱정할 정도로 경기가 안 좋은데 예산을 더 투입해서 2.8%를 달성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추경 예산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확보해서 쓰겠다는 뜻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네, 새로 나라에서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확보하는 그런 방식은 아니고요. 지난해 잉여금 1조 2천억 원과 올해 초과로 들어온 세금을 합쳐서 10조 원을 편성합니다.<br /><br />부동산 거래 활성화와 담뱃세 인상으로 세금이 예상보다 더 걷혔습니다. 이렇게 해서 10조 원 수준의 추경예산을 편성해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 대책 등에 씁니다.<br /><br />또 정부 기금을 더 쓰고 공기업의 투자를 늘리는 방식으로 10조 원 이상의 재정을 풀어 경기를 부양합니다.<br /><br />[유일호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: 추경의 재원은 연말까지 더 걷힐 것으로 예상되는 초과 세수를 활용해서 재정 적자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고 이 중 일부를 국채 상환에 사용해서 재정 건전성도 더 튼튼히 하겠습니다.]<br /><br />[앵커]<br />소비를 늘리기 위한 대책도 다양하게 발표됐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네, 여러가지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대책이 나왔습니다. 그 가운데 하나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6062815475337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